본문 바로가기

비뇨의학./배뇨장애 시리즈

(6)
신경인성 배뇨장애 : 제대로 알고 치료 받자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방광의 신비우리 몸의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방광의 기능은 뇌와 척수, 그리고 방광과 요도를 연결하는 신경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뇌는 소변을 저장할지, 배출할지 결정하고, 척수는 방광과 요도 괄약근에 신호를 보내 소변의 저장과 배출을 조절합니다. 이처럼 정교한 시스템을 통해 우리는 소변을 적절한 때에 적절한 장소에서 배출할 수 있습니다. 신경인성 방광이란 무엇일까요?신경인성 방광은 뇌, 척수, 또는 방광과 요도를 연결하는 신경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소변의 저장과 배출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신경인성 방광은 다양한 신경 질환 및 손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척수 손상,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
방광염 : 크랜베리가 정말 효과가 있을까? 방광염으로 대표되는 요로감염은 가장 흔한 세균 감염에 의한 질환 중 하나로, 전체 여성의 50~80%가 평생 한번 이상 경험을 합니다. 일반적으로 요로계란 상부요로계인 신장, 요관과 하부 요로계인 방광, 전립선, 요도를 뜻하게 됩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매년 약 1만명 중 40여명 정도가 상부 요로감염인 신우신염에 걸리며, 이들 중 25%는 입원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국가건강정보 포탈[바로가기]은 전했습니다. 여성의 경우 해부학적 구조로 인해 남성에 비해 요로 감염에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남성의 요도는 외부로 돌출된 데 반하여 여성의 요도는 여성 생식기 안쪽에 위치하고, 요도와 항문과의 거리가 짧기 때문이라고 해석합니다. 오늘 포스팅은 요로 감염 중 방광염에 대해 다루도록 하고, 항생제 이외의 대안적인 ..
배뇨장애 시리즈 - 과민성 방광의 치료법_약물치료, 수술적치료 앞선 포스팅에서는 과민성 방광의 행동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행동치료는 과민성 방광 치료의 기본으로서 매우 중요하지만, 환자의 증상 조절이 되지 않은상황에서는 치료의 순응도가 좋지 않습니다.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행동치료에 병행하여 약물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배뇨장애 시리즈 - 과민성 방광편의 최종화로 약물치료 및 수술적 치료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약물치료 요약 항무스카린제: 소변 저장기의 불수의적 배뇨근 수축 억제 및 요절박 증상 완화, 고령자의 경우 주의 필요, 부작용으로 입마름, 변비, 시야흐림 등이 있음. (사용 약물: 토비애즈, 베시케어, 유리토스) 베타-3 작용제제: 베타-3 교감신경을 활성화하여 기능적 방광용적 증가 및 소변 저장기 불수의적 배뇨근 수축 감..
배뇨장애 시리즈 - 과민성 방광의 치료법_행동치료 과민성 방광의 치료 과민성 방광의 치료는 크게 행동치료, 약물치료, 수술적 치료로 구 분할 수 있습니다. 증상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경우 간단한 생활습관 교정만으로도 크게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행동치료 도중 환자의 증상완화 및 치료 순응도를 교정하기 위해 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많은 환자들이 약물 치료의 편리함을 생각하고 행동교정을 동시에 시행하지 않기 때문에 치료 효과가 반감되고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의 경우 주된 치료는 행동교정에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비뇨의학과 의사와 함께 증상개선을 위한 치료를 진행하셔야 합니다. 적극적인 행동치료와 약물치료에도 불구하고, 치료에 호전이 없는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수술적 치료는 마취를 요하고, 그 효과가 영구적일 ..
배뇨장애 시리즈 - 과민성 방광 진단을 위한 검사 및 절차 과민성 방광의 진단 과민성 방광은 환자의 병력청취가 가장 중요합니다.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기반으로 진단을 내리기 때문에 병력을 확인하여, 과거와 현재의 하부요로증상, 빈뇨, 요절박, 야간뇨, 요실금 등과 같은 저장증상의 유무나 정도를 파악하게 됩니다. 앞서 과민성 방광의 정의에서 확인되었듯 저장증상을 악화시키는 다른 요인이 있는지 확인하는 절차를 수행하게 됩니다. 여성환자의 경우 항문과 요도의 위치가 가까운 해부학적 원인으로 인해서 남성에 비해 요로감염의 빈도가 높습니다. 이전에 증상이 없었지만, 최근 갑작스러운 증상의 악화를 보였다면, 요로감염 여부를 확인하여야 합니다. 이는 소변검사를 통해 확인하게 되며, 원인 균주 동정을 위한 소변 배양검사의 경우 결과 확정까지 통상 1주 정도의 시간이 필요합니..
배뇨장애 시리즈 - 과민성 방광 증상은 무엇인가요?(빈뇨, 급박뇨, 요실금, 야간뇨, 하복부 통증) 비뇨의학과는 남성들이 가는 곳이라는 인식이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진료실을 찾는 많은 수의 환자들은 여성분들입니다. 비뇨의학과가 남성 수술을 강조하면서 배뇨계통의 장애 혹은 이상증상을 진료하는 과에서 남성의학과로의 인식이 생겨버렸습니다. 하지만, 남성의학은 비뇨의학과의 많은 진료과목 중 하나이며, 비뇨의학과는 진료과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비뇨기 및 생식기 계통에 생긴 문제를 다룹니다. 진료실에서 만나는 많은 여성 환자분들은 빈뇨, 급박뇨, 요실금, 야간뇨, 하복부 통증을 호소하십니다. 그 중 하부요로계증상으로 분류되는 빈뇨는 환자가 배뇨를 자주한다고 호소하는 증상으로, 여성분들이 비뇨의학과를 찾는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대부분의 여성환자 빈뇨의 경우 강하고 갑작스러운 요배출 욕구가 일어나 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