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방광의 신비
우리 몸의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이러한 방광의 기능은 뇌와 척수, 그리고 방광과 요도를 연결하는 신경계의 복잡한 상호 작용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뇌는 소변을 저장할지, 배출할지 결정하고, 척수는 방광과 요도 괄약근에 신호를 보내 소변의 저장과 배출을 조절합니다. 이처럼 정교한 시스템을 통해 우리는 소변을 적절한 때에 적절한 장소에서 배출할 수 있습니다.
신경인성 방광이란 무엇일까요?
신경인성 방광은 뇌, 척수, 또는 방광과 요도를 연결하는 신경 경로에 문제가 발생하여 소변의 저장과 배출 기능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신경인성 방광은 다양한 신경 질환 및 손상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뇌졸중, 척수 손상, 파킨슨병, 다발성 경화증, 당뇨병 등이 대표적인 원인 질환입니다. 이러한 질환들은 뇌와 방광 사이의 신호 전달을 방해하여 소변을 제대로 저장하거나 배출하지 못하게 합니다.
신경인성 방광의 증상은 다양합니다
신경인성 방광의 증상은 원인 질환과 손상된 신경 경로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빈뇨, 요절박, 절박 요실금, 요실금, 잔뇨감, 요정체 등이 흔한 증상입니다.
빈뇨 |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하루 8회 이상) |
요절박 | 소변이 갑자기 마려운 증상 |
절박 요실금 | 요절박과 함께 소변을 참지 못하고 지리는 증상 |
요실금 | 소변을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배출하는 증상 |
잔뇨감 | 소변을 보고 나서도 방광에 소변이 남아 있는 듯한 느낌 |
요정체 | 방광에 소변이 가득 차서 배출되지 못하는 상태 |
신경인성 방광의 진단, 어떻게 이루어질까요?
신경인성 방광의 진단은 병력 청취, 신체 검사, 소변 검사, 요역동학 검사, 영상 검사 등을 종합하여 이루어집니다. 병력 청취를 통해 환자의 증상, 과거 병력, 약물 복용력 등을 파악합니다. 신체 검사를 통해 방광과 요도의 상태를 확인합니다. 요 검사를 통해 요로 감염 여부를 확인합니다. 요역동학 검사는 방광과 요도의 기능을 객관적으로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영상 검사는 방광과 요도의 구조적 이상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신경인성 방광의 치료, 다양한 방법 존재
신경인성 방광의 치료는 환자의 증상, 요역동학 검사 결과, 원인 질환 등을 고려하여 개별적으로 이루어집니다. 치료의 목표는 요실금, 빈뇨, 요절박 등의 증상을 완화하고, 요로 감염과 같은 합병증을 예방하며,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하는 것입니다. 치료 방법에는 행동 치료, 약물 치료, 수술 치료 등이 있습니다.
행동 치료
행동 치료는 환자의 생활 습관을 조절하여 방광 기능을 개선하는 방법입니다.
배뇨 훈련 |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소변을 보는 훈련 |
골반 근육 운동 | 방광과 요도를 조절하는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 |
바이오피드백 | 방광과 요도의 기능을 측정하여 환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
약물 치료
약물 치료는 방광과 요도의 기능을 조절하는 약물을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항콜린제 | 방광의 수축을 억제 |
베타-3 항진제 | 방광을 이완시키는 약물 |
칼슘 길항제 | 방광 근육의 수축을 억제하는 약물 |
삼환계 항우울제 | 방광의 수축을 억제하고 요도 괄약근을 강화하는 약물 |
수술 치료
수술 치료는 방광과 요도의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수술을 시행하는 방법입니다.
방광 확대술 | 소장의 일부를 사용하여 방광의 용적을 늘리거나 방광 근육을 절개하여 용적을 확장하는 수술 |
방광 경부 절개술 | 방광 경부의 구축등으로 인한 증상 시 기능을 개선하기 위해 절개 등을 가하는 수술 |
요로 전환술 | 방광의 기능이 적절하지 않아 회복의 가능성이 영구적으로 제한될 때, 피부를 통해 소변이 배출하도록 유도하는 수술 |
천수 신경 자극술 | 천수 신경에 전기 자극을 가하여 방광과 요도의 기능을 조절하는 수술 |
신경인성 방광, 꾸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신경인성 방광은 만성 질환이므로 꾸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규칙적인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적절한 치료를 통해 증상을 조절하며, 정기적인 검진을 통해 요로감염, 신장기능 소실 등의 합병증을 예방해야 합니다. 신경인성 방광은 환자의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는 질환이지만, 적절한 치료와 관리를 통해 악화가 더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조절을 해야겠습니다.
'비뇨의학. > 배뇨장애 시리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광염 : 크랜베리가 정말 효과가 있을까? (0) | 2025.02.24 |
---|---|
배뇨장애 시리즈 - 과민성 방광의 치료법_약물치료, 수술적치료 (0) | 2023.04.05 |
배뇨장애 시리즈 - 과민성 방광의 치료법_행동치료 (1) | 2023.04.05 |
배뇨장애 시리즈 - 과민성 방광 진단을 위한 검사 및 절차 (0) | 2023.04.04 |
배뇨장애 시리즈 - 과민성 방광 증상은 무엇인가요?(빈뇨, 급박뇨, 요실금, 야간뇨, 하복부 통증) (0) | 2023.04.04 |